* 살균과 멸균의 차이
- 살균 :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세균, 효모, 곰팡이 등 미생물의 영양세포를 사멸시키는 것
- 멸균 : 따로 규정이 없는 한 미생물의 영양세포 및 포자를 사멸시키는 것
* 열 사멸 곡선(TDT Curve, Thermal Death Time)(Fig. 1)
• 미생물의 사멸 속도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나타내는 곡선으로, 로그 F를 가열 치사에 대하여 그린 곡선
• 미생물의 치사 시간은 식품 속의 미생물 세포 수에 비례하며 가열 온도에 반비례한다.
• 즉, 가열 온도가 높을수록 가열 시간을 짧게, 온도가 낮을수록 시간을 길게 하여 살균하여야 한다.
* 고압멸균(Fig. 2)
• 세포의 내생포자를 파괴하기 위해서는 100℃ 이상에서 높은 증기압으로 멸균해야 한다.
a. 내생포자(endospore)
: 내생포자는 주로 bacillus나 clostridium 속(genus)에 속하는 종(species)들의 세포 안에서 포자화 과정을 거쳐 생성되는 독특한 형태의 휴면세포이다.
b. 실험실에서 멸균을 할 때는 내생포자들을 죽이기 위해 대기압보다 높은 15 psi(pounds/square inch)의 압력 하에서 121℃의 온도로 15~20분 동안 가압증기멸균을 수행한다.
* 오토클레이브(Autoclave)에 관한 안전 기술지침 [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(2013.11) 발췌]
• 오토클레이브의 위험성
① 오토클레이브에서 일어나는 가장 큰 위험은 안전장치의 중요 부품이 고장을 일으킬 때 내부에 축적된 에너지가 제어할 수 없을 정도로 갑작스럽게 방출되는 것으로 방출물로는 오토클레이브 장치의 부품, 가압시키는 물질(반응물질) 및 저장된 내용물 등이 있다.
② 밀폐된 문이 부서지면 위험한 증기 또는 고온의 유체 방출 또는 내부에서 부서진 장치 파편의 비산 등으로 이어지는 위험이 있다.
③ 오토클레이브 문은 완전히 닫히기 전에는 가압되지 않는 구조로 하고 문잠금기구의 기능이 완전히 작동하고 내부는 완전히 밀폐되어야 한다.
④ 뜨거운 내용물로부터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오토클레이브 내용물 온도가 안전수준까지 떨어질 때까지 문 또는 뚜껑은 열리지 않아야 한다.
⑤ 문을 열기 전에 오토클레이브의 지시계를 통해 잔여압력이 없음을 확인해야 한다.
* 고압증기멸균기 작업 단계별 주의사항
작업단계 | 위험요소 | 주의 및 조치사항 |
1. 재료 준비 | 가득 채운 트레이가 쏟아질 위험 | 멸균봉지의 제한 무게 초과 금지 멸균봉지를 가득 채우기 금지 |
밀봉된 봉지 및 병 폭발 위험 | 멸균봉지를 느슨하게 묶기 병이나 용기의 뚜껑을 느슨하게 조이기 초자기구 등의 내열성 여부 확인 |
|
2. 고압멸균물질 운반 | 물질이 카트에서 떨어질 위험 | 무리하게 카트로 운반 금지 2중 용기를 이용하여 운반 |
무거운 물건으로 인한 부상 위험 | ||
3. 고압멸균물질 적재 | 고압증기멸균기 문(뚜껑)을 열 때 독성 흄에 노출 위험 |
문(뚜껑)을 완전히 열기 전에 압력과 온도가 충분히 낮아진 후 수동밸브를 열어 남아있는 증기 제거 |
문(뚜껑)을 열 때 뜨거운 증기로 인한 화상 위험 |
보안경 또는 안면마스크, 및 내열장갑 착용 고온증기가 발생하는 부위 앞에서 사용 금지 |
|
증류수 추가 공급 시, 고온의 수증기 발생으로 화상 위험 |
보안경 또는 안면마스크 및 내열장갑 착용 증류수 보충 전에 안전온도 이하로 충분한 냉각 되었는지 확인 필요 |
|
고압증기멸균기 내부 접촉으로 인한 화상 위험 | 내열장갑과 실험복 착용 고압증기멸균기가 너무 뜨겁다고 판단되면 문(뚜껑)을 넓게 열어서 멸균물질 적재 전에 냉각 필요 |
|
무거운 물건으로 인한 부상 위험 | ||
4. 고압멸균 종료 후 고압멸균물질 내림 |
고압증기멸균기 문(뚜껑)을 열 때 독성 흄 노출 위험 |
문(뚜껑)을 완전히 열기 전에 압력과 온도가 충분히 낮아진 후 수동밸브를 열어 남아있는 증기 제거 |
문(뚜껑)을 열 때 뜨거운 증기로 인한 화상 위험 |
보안경 또는 안면마스크 및 내열장갑 착용 고온증기가 발생하는 부위 앞에서 사용 금지 |
|
고압증기멸균기 내부 접촉으로 인한 화상 위험 | 내열장갑과 실험복 착용 고압증기멸균기가 너무 뜨겁다고 판단되면 문(뚜껑)을 넓게 열어서 멸균물질 적재 전에 냉각 필요 |
|
무거운 물건으로 인한 부상 위험 | ||
5. 쓰레기 처리 | 멸균물질 또는 재료가 쏟아질 위험 | 쓰레기를 옮기기 전에 강하게 밀봉 쓰레기를 옮기기 전에 새는 곳이 없는지 확인 만약 봉투가 샌다면, 다른 봉지에 넣기 |
MRS 고체 배지 제조 (0) | 2023.03.24 |
---|---|
MRS Broth | Millipore (0) | 2023.03.09 |
Cell Stock 보관 용액 제조 (0) | 2023.02.27 |
MRS 액체 배지 제조 (0) | 2023.02.27 |
피펫(Pipette) or 스포이트(Spuit)의 사용 (1) | 2023.02.27 |
댓글 영역